일시 : 2009. 3. 05. 목요일. 흐린후 비
인원 : 한뫼, 코로스
건달, 명산, 일체무, 한살림, 주여사, 김은재, 현곡, 최윤화, 하얀, 은주, 허브
코스 :
구 간 명 | 시 각 | 비 고 |
계원디자인예술대학 정문 | ||
모락산 산림욕장 입구 | 10:57 | 능선 갈림길(우측) |
사인암 | 11:30 | 모락산 정상 갈림길(좌측-절터약수터) |
절터약수터 | 11:40 | |
2차선포장도로(백운고개) | 12:19 | 백운공원 버스정류장 |
공동묘지 | 12:46 | |
백운사 갈림길 급경사 오르기전 사거리 |
13:10 13:40 |
점심 |
백운산(567m) | 13:58 14:07 |
북쪽 능선길 |
고분재 | 14:38 | |
바라산(428m) | 14:57 | |
바라산재 | 15:14 | |
우담산(425m) | 15:49 | |
영심봉 갈림길 | 16:07 | 좌측(원터마을), 우측(영심봉) |
외곽순환도로 청계요금소 | 16:27 | 굴다리 지나 횡단보도 |
원터마을 | 16:38 | 하우현 성당마을 |
▶거리 (접속 6km. 지맥 5.6km)
▶시간 5시간40분
▶인덕원역 2번출구로 나와서 1-1번 시내버스 탑승하여 계원예대에서 내림
▶산행지도
깊은 산중
비가 내린다.
파롯이 돋아날 생명을 위하여...
백두대간 속리산 천황봉에서 한남금북정맥이 분기하여 보은 청주를 지나 경기도 안성땅 칠장산에서 두 갈래로 갈려 남으로 달려 금강의 북쪽 울타리를 만드는 금북정맥과 서북으로 흘러 한강의 온전한 남쪽 줄기를 이루는 한남정맥이 바로 그 두줄기이다.
한남정맥이 안성 용인땅을 거쳐 수원 광교산을 넘어 백운산에서 한남정맥은 서남방향으로 흘러 1번 국도인 지지대고개를 넘어가고 또 한줄기는 북으로 흘러 고분재 바라산 학현(하오고개) 국사봉 이수봉 절고개 매봉 과천터널 직전 바로 옆 능선으로 흘러 고속도로를 건너 찬우물 등 과천 시가지를 가로질러 중앙공무원연수원 내 능선으로 급경사를 올라쳐 국기봉 631봉 관악산 남태령을 넘어 우면산 서울시공무원교육원 뒷능선으로 뻗어나가 경부고속도로를 건너 무명봉을 하나 넘어 서초구청앞 양재사거리를 지나 95봉을 거쳐 한강변에서 끝이나나 서초구청 이후는 전부다 도시개발로 인하여 아파트 및 상가 주택가로 변해 그 능선을 찾는다 해도 별 의미가 없어 서초구청사거리를 그 끝으로 삼는 약 30km의 산줄기를 한남관악지맥 부른다.
계원에대에서 바라본 모락산 사인암
인덕원역 2번출구밖에서 1-1번 시내버스를 타고 계원예대에서 내려야 하는데 그만 지나쳐 다다음
정류장에서 내려 계원예대로 들어 섰다.
오늘 산행의 들머리 모락산 산림욕장 입구
모락산 산행안내도
주능선 갈림길(우측 : 모락산 정상)
철나무계단 전망대에서 오늘 걸을 관악지맥, 우담산을 배경으로)
사인암에서 모락산 정상을 배경으로
사인암에서
시간이 지체되어 갈림길에서 왼쪽 절터약수터로 진행
절터약수터
오른쪽 잣나무군락을 벗삼아
능골고개(직진 : 산등성이 길로 간다)
산불감시탑
백운고개(백운동산 버스정류장이 백운호수쪽으로 있다)
도로 건너 진행하여 등성이에 올라 묘지에서 막걸리 시간을 가졌다.(왼쪽으로 진행)
백운산을 바라보며
30번 철탑도 지나고
성황당 안부도 지나며
옛사람의 안부도 전한다. 언젠가는 나도 그러하이다.
건달님!
이곳(백운산 오르기전 공터)에서 점심을 먹었다.
백운산에서 북쪽능선길로 내려선다.
한남정맥 시작.
고분재
바라산 오르기전 일곱갈래 소나무
바라산 전망대
바라산재
우담산
영심봉 갈림길(왼쪽으로 진행)
비가 와서 그런지 선두의 대장님이 영심봉으로 오르지 않고 외곽순환도로 청계요금소로 진행.
망자의 집에서 바라본 산마루금
청계요금소
외곽순환도로 굴다리를 나와서
횡단보도 건너에 원터마을 표지석이 있다.
다음구간 들머리에서
오늘
내린 비가
내가슴에 조용히 스며들기를 바라며.
한남 관악지맥 1구간을 마친다.
'한남정맥과 한남지맥 > 한남관악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관악지맥 3구간 (0) | 2009.04.12 |
---|---|
한남관악지맥 2구간 (0) | 2009.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