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북정맥과 한북지맥/한북정맥

한북정맥 5구간(명덕삼거리에서 축석령)

一切無 2009. 9. 2. 14:08

일시 : 2009. 09. 01. 화요일. 맑음

인원 : 일체무

코스 : 

구 간 명 도 착 출 발 비             고
 명덕삼거리 08:23 08:33   
 수원산 군부대 후문 09:14 09:29  
 내촌․약수터정상 갈림길 09:45    
 바위봉(전망대) 10:55 11:09  두 번째 송전탑(59번)...641봉
 헬기장      
 국사봉 정상 11:39
11:45
 
12:10 
 삼각점, 전망없음
 정상에서 6분 내려와 점심
 채석장보이는 능선 12:34    철조망, 추락주의
 육사생도 6.25참전기념비 12:48    
 큰넓고개(87번 지방도) 13:00  극동금속 길 건너 부천수지 녹색철망 옆길
 소나무숲길(좌측)...        GS주유소 우측에서
 87번도로 건너 절개지 올라 능선 갈림길(좌측)
 작은넓고개 13:34    
 570봉      
 안부(입산통제 안내판) 14:53    
 601봉 15:06    동판 삼각점
 죽엽산 정상(610m) 15:21    전망없음
 갈림길 15:27    좌측-광릉, 우측-비득재
 갈림길에서 내려오다 10분간 휴식
 임도 15:50    
 비득재 16:18 16:30  
 노고산 16:55 17:07  방송탑, 고모산성안내판
 나무숲 터널에서 휴식
 사거리(넓은 길) 17:23    
 사거리(소로 길)      
 천도교 공원묘지 17:45    
 군부대 후문초소(철조망) 17:51    이곳에서 좌측 철조망따라 진행
 군부대 후문(도로)      이곳에서 철조망따라 올라감
 갈림길      좌측-산길(정맥길)
 무림리고개(98번 지방도) 18:29    
 임도길 18:37    
 첫 번째 삼거리 18:39    우측, 좌측(수락지맥)
 2차선 포장도로 19:03    좌측에 귀락터널 있음
 모텔포유에서 길건너 산등성으로 오름
 축석삼거리 19:13    

  

▶거리 : 마루금 22.1km,  접속 0.6km(명덕삼거리에서 서파사거리 정류소)

▶시간 : 마루금(10:40),  접속(10분)

▶구산역에서 05:36분 첫 전동열차

▶상봉터미널에서 07:00 출발 → 서파 08:12분 도착(현리행)

▶축석령에는 의정부가는 버스 : 수시로 있음

▶의정부터미널 건너에서 34번 버스로 연신내  

산행지도 

 

 

 

 

 

산행중 두 번 원추리꽃을 보았다.

두 번째 원추리 꽃을 보았을때 색태가 아름다워 사진에 담으려고 하였다.

그러나 그냥 지나침으로, 끝내 원추리는 보지를 못하였다.   

 

 

 

 

 상봉터미널 7번홈에서 07:00시에 출발하는 현리행 버스를 타고 서파에 내리니 08:12분이다. 도로를 건너 서파휴게소 쪽에서 좌측 56번 도로로 10분정도 이동하면 명덕삼거리인데, 실제로는 사거리이다.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천마지맥 분기점이 좌측으로 있고, 한북정맥은 우측으로 오른다. 천마지맥은 2년전에 55개산 종주시 걸어간 길이다.   

 

 수원산 갈림길을 지나 위로 오르면 군부대 후문이 있다.  일동면의 물의 근원이라 수원산이라고 한다.

 

 약수터 정상으로 진행

 

 갈림길에서 내촌방향으로 진행

 

 갈림길에서 바라본 도봉과 삼각산의 원경

 

 계속이어지는 좌측의 잣나무 숲

 

 

 

 잠시 휴식을 취하며(시계를 보니 정지.  군부대 후문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이에 바늘이 멈추었나 보다)

 

 641봉(전망봉)에서 바라본 주금산쪽 채석장

 

 

 

 운악산과 뒤로 이어지는 마루금

 

 전망봉에서 바라본 도봉과 삼각산

 

 주금산과 OB베어스타운

이곳에서 시간을 많이 지체하였다.

 

 국사봉 정상

이곳에서 점심을 먹으려고 하다가, 7분정도 내려가서 점심을 먹음

 

 능선을 내려가다 바라본 채석장

 

 

 

 앞으로 오를 87번 지방도 건너 절개지 봉우리

 

 

 

 육사생도 6.25 참전 기념탑에서

 

 87번 구도로에서 우측 포도밭을 지나

 

 극동금속에서 길 건너 진행

 

 87번 지방도에 있는 GS칼텍스정류장 직전에 도로 중앙분리대를 건넘(※주의하여 황단)

 

 

 

 중앙분리대와 들머리

 

 경사면을 올라와 바라본 참전기념비, 국사봉과 수원산으로 이어지는 마루금

 

 아띠 표시기

 

 

 

 작은넓고개에서

 

 570봉을 오르다 바라본 해룡산과 칠봉산

 

 입산통제 안내판

 

 601봉 소삼각점

 

 죽엽산 정상을 지나있는 소나무와 느티나무의 어우러짐

 

 갈림길에서 우측 비득재방면 임도로 내려오다 바라본 도봉과 삼각산의 전경

 

 고통을 이겨가면 큰 소나무. 삶도 이러하다

 

 지천으로 널부러져 있는 솔방울(이곳에서 휴식)

 

 임도길(마루금은 임도를 건너 철탑을 따라 진행)

 

 비득재 날머리

 

 이곳에서 양말을 갈아 신으니, 발이 한결 상쾌하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이곳에 선그라스를 두고서 노고산을 오르는 도중에 다시 내려왔다가 올랐다. 갈 길은 먼데...

 

 노고산 들머리

 

 

 

 노고산 정상에 올라 바라본 도봉과 삼각산의 전경

 

 노고산 정상

 

 

 

 고모산성 안내판과 방송중계탑

 

 고모산성 안내판 앞에 있는 나무숲터널

 

 안부 사거리

 

 천주교묘지 초입에서 바라본 도봉, 삼각산

 

뒤돌아 바라본  해룡산과 왕방산, 너머로 국사봉이 보인다.

 

 군부대 초소 가까이서 바라본 좌측의 수락산과 삼각산, 도봉산 전경

 

 천주교 묘지에서 다시 뒤돌아본 해룡산, 국사봉, 왕방산

 

 군부대 초소에서 좌측 철망을 따라 내려가다 만난 문인석

 

 무림리고개 날머리

 

 무림리고갯마루

 

 무림리고개 들머리 

 

 임도에서 바라본 지나온 노고산과 죽엽산

 

 수락지맥 분기점(좌측), 마루금은 우측으로 진행

 

 귀락터널

 

 모텔포유에서 차도를 횡단하여 산능선으로 오름

 

 오늘의 귀착점 축석삼거리

 

 축석삼거리 날머리

 

 다음 구간 들머리 축석교회를 바라보며

 

정조실록 35권 16년 9월 11일 (정미) 001 / 광릉을 참배하다 기록 중에 상이 승지 서영보에게 이르기를, “이 축석령은 백두산(白頭山)의 정간룡(正幹龍)이요, 한양(漢陽)으로 들어서는 골짜기이다. 산의 기세가 여기에서 한 번 크게 머물렀다가 다시 일어나 도봉산(道峰山)이 되고 또 골짜기를 지나 다시 일어나 삼각산(三角山)이 되는데, 그 기복(起伏)이 봉황이 날아오르는 듯하고 용이 뛰어오르는 듯하여 온 정신이 모두 왕성(王城) 한 지역에 모여 있다. 산천은 사람의 외모와도 같은 것이어서 외모가 좋은 산천은 기색(氣色) 또한 좋다. “ 


위의 글은 조선왕조실록 정조편에 나온 광릉 숲의 축석령 관련 내용이다.

 

오랜만에 걸어보는 한북정맥길. 그 길을 걸으며, 나는 허튼 것에 너무 집착을 하였다.